[ Git Hub ] Git Hub?

Git?
git은 프로그램 등의 소스 코드 관리를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버전관리 프로그램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SVN_아파치 서브버전이나 네이버 개발자센터를 들 수 있다.)

svn은 서버를 설치하고서 사용할 수 있는데 반해
git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곳에다가 저장을 하기 때문에 
환경구축이 별도로 필요없다.(웹상에 업로드 시키는 형태)
git에 올라가져 있는 프로젝트들은 공개 프로젝트라면 누구나 사용이 가능


Git Hub?
Git Hub는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이다.
Git 저장소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Git Hub를 통해 사용가능
그러나 Git Hub는 단순히 Git 소스 저장소만을 의미하지는 않음
(Git)이 텍스트 명령어 입력 방식인데 반해
깃허브는 화려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


How to Use Git Hub with STS ?

1. Git Hub 계정 생성
깃허브 홈페이지(https://github.com/)에서 계정생성


2. STS에서 Create an Account of Git Hub 클릭




# 최초 동기화 #
clone a git repository : git hub에 올려둔 프로젝트 내려서 동기화시키고 싶을 때
create a new local Git repository : 만들어둔 프로젝트에 git hub 올릴 때
 
# 최초 업로드 #
Local git repository를 만들어두고 나서,
project exeplorer에서 git hub에 올릴 프로젝트를 우클릭
team share project local repo 지정
 
여기 까지하면 Local Repository 폴더 내에 해당 프로젝트가 생긴다.
이 때, 기존 프로젝트가 로컬저장소로 옮겨짐. 기존 프로젝트 경로에 내용 유지 x

자주 쓰는 기능 ( project 마우스 우클릭 team menu commit / push / pull )


commit
로컬 저장소에 기록하는 작업

push
로컬 저장소의 상태를 github에 업로드(인덱스 처리됨, 커맨드를 단다거나)


Git Hub 계정으로 입력하고 업로드
만약 reject에러가 뜨는거면 공동 작업중인 다른 작업자가 내가 작업하고 push
하기 전에 push를 해버려서 깃허브에 올려진 내용과 나와 맞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다
이 때는 pull을 하고 다시 push를 해주면 된다.

 
pull
git hub의 상태를 로컬에 다운로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PRING] log4j2.xml 설정

[ Javascript ] 프로토타입 이해하기

[JWT] 토큰(Token) 기반 인증에 대한 소개